이슈166 전북 부안 지진 발생 2024년 6월 12일 전북 부안에서 규모 4.8 지진이 발생하였습니다. 지진에대한 정보와 인명피해 지진시 대피요령등은 어떤것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북 부안 지진 발생시간: 2024년 6월 12일 오전 8시 26분 49초규모: 4.8 (올해 한반도 최대 규모)진앙: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북위 35.70도, 동경 126.72도)진원 깊이: 8km최대 진도: 전북권 Ⅴ (거의 모든 사람이 진동을 느끼고, 그릇·창문 등이 깨지는 정도)▼클릭▼지진 발생시 행동요령▼클릭▼지진발생시 행동요령전북 부안 지진 피해인명: 부상 10여 명, 사망 0명 (6월 12일 오전 9시 기준)건축물: 일부 건물 균열 및 파손 (주로 노후 건축물)기타: 정전, 산사태 발생지진발생시 행동요령전북 부안 지진 특징육지.. 2024. 6. 12. 대남확성기 남북 분단의 상징인 대남확성기의 역사와 현황, 그리고 남북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대남확성기의 문제점과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남확성기란 무엇인가?대남확성기는 남북 분단 이후 남북 간 심리전 및 선전방송을 위해 사용되는 확성기입니다. 군사분계선(DMZ) 인근에 설치되어 북한 주민과 남한 군인들에게 방송을 전달합니다. 방송 내용은 주로 체제 선전, 남한 비방, 남한 주민 유혹 등이며, 과거에는 김일성, 김정일 연설, 노동당 선전, 남한 사회주의 체제 찬양 등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최근에는 남한 정부 비판, 남한 군 비방, 남한 주민 탈북 선동 등의 내용이 늘어나고 있습니다.대남확성기의 역사대남확성기는 1950년대 한국전쟁 이후 남북 간 심리전 및 선전방송을 위해 처음.. 2024. 6. 12. 임성근 탄원서 해병대 채상병 사망 사건과 관련하여 임성근 전 사단장 탄원서의 주요 내용, 진실 규명 및 책임 소재 쟁점, 논란과 사회적 담론을 다각도로 분석합니다.임성근 탄원서 주요 내용2024년 6월 10일, 해병대 채상병 사망 사건으로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입건된 임성근 전 사단장은 경북경찰청에 탄원서를 제출했습니다. 탄원서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요 내용이 제시되었습니다.부하 선처 요청: 임 전 사단장은 채상병 사망 사건에 대한 책임을 부하 장교들에게 돌리며, 그들의 선처를 요청했습니다. 특히, 포11대대장과 포7대대장이 채상병의 훈련 참여를 허용했다고 주장했습니다.무죄 주장: 임 전 사단장은 자신은 채상병 사망 사건에 대한 책임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훈련 계획 및 지침은 모두 상급부의 지시에 따라 수행되었.. 2024. 6. 11. 육군 훈련병 사망 사건 2024년 5월 육군 훈련병 사망 사건과 관련하여 중대장의 책임과 군기 훈련의 문제점을 다각도로 분석합니다. 훈련병 사망사건의 개요와 군대의 문제점등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육군 훈련병 사망 사건 개요2024년 5월 육군 훈련병 사망 사건은 대한민국 사회에 큰 충격을 불러일으켰습니다. 강원도 인제 훈련소에서 실시된 군기 훈련 중 훈련병 1名が 숨지고, 5명이 쓰러지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 사건과 관련하여 중대장 등 간부들이 업무상 과실치사 및 직권남용 가혹행위 혐의로 입건되었습니다. 육군 훈련병 사망 사건 중대장의 책임중대장은 훈련병들의 안전과 건강을 책임지는 지위에 있습니다. 훈련 계획 수립, 지휘, 감독 등 훈련 과정 전반에 걸쳐 책임을 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사건에서는 훈련병들의 건강.. 2024. 6. 11. 이전 1 ··· 25 26 27 28 다음